1. 트랜잭션 격리 수준(Isolation Level) - 트랜잭션에서 일관성이 없는 데이터를 허용하도록 하는 수준 2. 필요성 - 데이터베이스는 ACID(트랜잭션 특징) 같이 원자적이면서도 독립적인 수행을 하도록 한다. - 그래서 Locking 이라는 개념이 등장한다. - 하지만 무조건적인 Locking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많은 트랜잭션들을 순서대로 처리하는 방식은 성능이 떨어진다. - 그래서 최대한 효율적인 Locking 방법이 필요하다. 3. Isolation Level 종류 1) Read Uncommitted (레벨0) - 커밋되지 않는 읽기 - 트랜잭션 A가 특정 컬럼 데이터를 변경하고 있을 때(커밋하지 않은 상태) 트랜잭션 B가 read하면 트랜잭션 A가 변경한 데이터를 읽어온다. - 커밋되지..